사는이야기/책

[한계 비용 제로 사회]

E.K.Lim 2017. 4. 12. 09:39
한계비용 제로 사회 - 10점
제러미 리프킨 지음, 안진환 옮김/민음사

어려운 책일 거라고 지레짐작하고 읽지 않았던 '한계비용 제로 사회'. 독서모임에서 선정된 김에 큰 맘 먹고, 읽기 시작했다.
자본주의는 '실로 대단한 역사'를 이루며 발전했다. 재산이 사유화되면서 생산성이 향상되었고, 한계 비용은 감소했다. 그런데 이것이 반복되면서 이윤도 감소했다. '기술 혁신으로 인한 실업'이 발생하기 시작했고, 새로운 세대의 학제적 학문이 도래했다. (다학문 협업 시대)
열역학 제1법칙에 따르면, 에너지 총량은 고정되어 있고, 우주의 엔트로피(무가치한 에너지)는 계속 증가한다.
사회 발전의 동인이 되는 인프라를 3요소로 정리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매개, 에너지 자원, 물류 메커니즘. 경제 권력의 편중 현상은 1, 2차 산업혁명의 토대였던 인프라의 3요소에서 필연적으로 비롯된다.

자본주의 발달 > 한계비용 제로 > 협력적 공유 사회 로 필연적으로 발전할 것이라는 것이 이 글의 핵심 요약.
다만, 실물 경제가 없어지지는 않을 것이므로 '3D'에 대한 대체인력이 나타날 때까지는 이 사회가 지속된다는 것이 독서토론의 결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