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데이터 타입¶
- 정수(int)
- 실수(float)
- 문자열(str)
- 불리언(boolean)
type 함수¶
- 해당 변수, 값의 타입(type)을 알고자 할 때 사용
In [10]:
a = 10
b = 10
type(b)
Out[10]:
int
None¶
- 아무런 값을 갖지 않을 때 사용
- 일반적으로 변수가 초기값을 갖지 않게 하여 해당 변수를 생성할 때 사용
- 기타 언어의 NULL, nil 등과 같은 의미로 사용
In [11]:
c = None
print(c)
None
comparison operator(비교 연산자)¶
- 프로그래밍에서는 비교를 할 경우, = 대신 ==를 사용
- 비교 연산자의 결과는 bool 타입
In [14]:
a = 6
b = 4
print(a > b)
True
numbers¶
- 정수, 실수로 구성
- 수학의 기본 연산자(가감승제) 사용 가능
In [15]:
print(a + b)
print(a / b)
print(a % b) # 나머지
print(a ** b)
10
1.5
2
1296
operator priorities (연산자 우선순위)¶
- 기본적인 수학의 연산자와 동일
- 강제로 연산을 선수하기 위해서 괄호()를 사용
- 연습문제 다음의 각 a 값을 출력했을 때의 결과는?
In [16]:
a = 9
print(a)
print(a - 3)
print(a)
9
6
9
expression evaluation & assignment (식평가 & 대입)¶
- 변수의 값이 변경되기 위해서는 =를 사용하여 대입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해당
In [17]:
a = 9
a-3
print(a)
9
In [18]:
a = 9
t = a - 3
a = t
print(a)
6
In [19]:
a = 9
a = a - 3
print(a)
6
In [20]:
a = 9
a -= 3
print(a)
6
In [21]:
a = 9
a += 3
print(a)
a -= 3
print(a)
a *= 3
print(a)
a **= 3
print(a)
12
9
27
19683